치솟는 금값('25. 1월 자산현황)
1.31. 현재 자산현황은 약 6.74억원 수준이다.
기관별로 분류하면
- 미래에셋증권 2.16억원 (전월 2.09 억원)
- 키움증권 0.76억원 (전월 0.74억원)
- 공제회 1.63억원 (전월 1.62 억원)
-금 실물자산 1.09억원(전월 1.05 억원)
- 전세자금 1.10억원
----> 총 6.74억원 (전월 6.60억원)
성격별로 분류하면
- 국내주식 : 1.87억원 [1.48억원(주식)+0.39억원(펀드)]
- 해외주식 : 0.90억원 [0.76억원(미국주식)+0.14억원(S&P등)]
- 현금성 : 1.78억원 [공제회1.63억원 + 0.15억원(CMA)]
- 금 실물자산 : 1.09억원
- 전세자금 : 1.10억원
여기서
위험자산과 비위험자산을 분류하면
위험자산 : 2.77억원(약 41.0%)
비위험자산 : 3.97억원 (약 59.0%)
1. 지난달보다 약 17백만원이 증가했다.
투입자금(약380만원)의 배 이상의 수익을 거뒀다. 이유는 국내주식의 선방과 금값 상승이다.
2. 국내주식은 KT&G를 중심으로 상승했다.
설이 끝난 31일 KT&G 4,700원(4.44%) 및 네이버 12,500원(6.13%) 상승 등 주요 주가 상승으로 당일에만 4.7백만원 평가금액이 높아졌다.
3. 금값은 꾸준히 오르고 있다.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약 한달 사이에 4백만 평가금액이 상승했다.
금시세 : 네이버 검색
'금시세'의 네이버 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26년 10억 달성을 위해 Chat-GPT가 다음사항을 제시했다.
1. 미국주식으로 이동
현 한국주식에 치중한 구조를 미국주식 중심으로 변화시켜 더 높은 수익율 달성 도모
(국내 주식 투자금 축소 → 해외 주식 비중 확대)
2. 위험자산으로 확대 및 수익 가능성이 낮은 종목은 정리
보유 주식 수익율을 확인, 성적이 안좋은 주식은 매도하고 높은 수익율을 거두고 있는 종목(AI 등)으로 이동
3. 국내 주식을 놓지 마라 (리스크 분산 투자)
국내 주식은 방산, 2차 전지, AI 테마주에 소액 투자하고 해외 주식은 기술주와 고배당 ETF를 균형 있게 유지함.
4. 부수입 창출(실현 가능성은 낮을 듯)
부업, 절약 등으로 월 50~100만 원의 추가 자금을 마련해 투자.
5. 환율 리스크 관리
환율 상승기에 해외 주식 비중 조정 / 환율 하락 시 추가 매수로 기회 확보.